반응형
AI 및 데이터 기반 자동차 소프트웨어 용어정리
이 페이지에서는 10회차 글에서 다룬 AI 및 데이터 기반 자동차 소프트웨어의 주요 용어를 학문적으로 정리합니다. 각 용어의 정의와 실제 적용 맥락을 함께 기술하여, 독자가 소프트웨어 기술의 배경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용어 및 정의
용어 | 정의 및 설명 |
---|---|
AI (Artificial Intelligence) | 인공지능. 컴퓨터가 학습·추론·판단 등의 인간과 유사한 지능적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술. 자동차 분야에서는 ADAS, 자율주행, 예측정비 등에서 활용됨. |
머신러닝 (Machine Learning) | 데이터를 통해 규칙을 스스로 학습하는 알고리즘. 자동차 소프트웨어에서 주행 패턴 학습, 객체인식·분류 등에 사용됨. |
딥러닝 (Deep Learning) | 머신러닝의 하위 분야로, 다층 신경망(CNN, RNN 등)을 활용해 데이터의 복잡한 패턴을 학습하는 기법. |
OTA (Over-the-Air) 업데이트 |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 소프트웨어를 원격으로 갱신하는 기술. AI 기반 분석 결과를 반영해 차량 성능·보안을 개선함. |
예측정비 (Predictive Maintenance) | AI가 센서 데이터를 분석해 차량의 고장을 사전에 예측하는 기술. 부품 수명과 상태 데이터를 기반으로 유지보수를 최적화. |
데이터 로깅 (Data Logging) | 주행 중 발생하는 ECU, 센서 데이터를 기록·저장해 분석·검증에 활용하는 과정. HIL/SIL 검증 단계와도 연결됨. |
센서 융합 (Sensor Fusion) | 카메라, 레이더, 라이더 등 다중 센서 데이터를 통합·해석하는 기술. 자율주행 및 ADAS의 인지 정확도를 높임. |
HIL/SIL | Hardware-in-the-Loop / Software-in-the-Loop. 소프트웨어 검증 단계로, 실제 차량 환경을 가상화·모사해 알고리즘의 안정성을 검증. |
ISO 26262 | 자동차 기능안전 국제 표준. AI 기반 소프트웨어도 이 표준의 요구사항을 충족해야 함. 안전 등급(ASIL) 개념 포함. |
오버피팅 (Overfitting) | AI 모델이 학습 데이터에 과적합되어 새로운 데이터에서 정확도가 떨어지는 현상. AI 기반 소프트웨어의 실차 적용 시 문제될 수 있음. |
결론 및 추가 학습 자료
AI 및 데이터 기반 소프트웨어는 기존 ECU·제어 소프트웨어와는 전혀 다른 개발 패러다임을 제시합니다. 그러나 실시간성·기능안전·데이터 품질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여전히 중요한 과제로 남아있습니다.
이 페이지는 10회차 본문과 연계되며, 추가로 11회차 글에서 자동차 소프트웨어의 전반적 비교 및 총정리를 다룰 예정입니다.
반응형
'기술 > 소프트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소프트웨어 vs PC 소프트웨어 – 전문 용어 정리 (0) | 2025.06.15 |
---|---|
자동차 소프트웨어 vs PC 소프트웨어 총정리 – 핵심 차이점 분석 (0) | 2025.06.15 |
자동차 AI 및 데이터 기반 소프트웨어 심층 분석 (0) | 2025.06.14 |
HIL/MIL/SIL/가상ECU 용어 정리 – 자동차 소프트웨어 검증 (0) | 2025.06.13 |
HIL/MIL/SIL 검증과 가상ECU – 자동차 소프트웨어 검증 심층 분석 (0) | 2025.06.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