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슈퍼카 기술사/기술 각론

후륜구동과 AWD, 실제 주행에서 뭐가 다른가?

by dreamcar 2025. 5. 23.
반응형

 

슈퍼카 구동계 기술과 일반차 주행 성능의 차이

구동 방식이란 무엇인가?

자동차의 구동 방식이란 엔진의 동력을 어떤 바퀴에 전달하느냐를 뜻합니다. 대표적으로 전륜구동(FF), 후륜구동(RWD), 사륜구동(AWD/4WD)이 있으며, 구동 방식에 따라 주행감각, 코너링, 접지력, 연비 효율 등이 달라집니다.

 

슈퍼카는 왜 후륜구동을 선호했는가?

대부분의 전통 슈퍼카는 후륜구동(RWD)을 채택해 왔습니다. 이유는 두 가지입니다. 첫째, 무게 배분의 효율성 때문입니다. 차량의 앞쪽에 엔진이 있고, 뒤쪽에 구동력을 전달하면 앞뒤 하중이 균형을 이룹니다. 둘째, 고출력 엔진의 토크를 직관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 스포츠 주행에 적합합니다.

대표적으로 페라리 488 GTB, 포르쉐 911 카레라, BMW M4는 모두 후륜구동 기반으로, 운전자에게 보다 능동적인 컨트롤을 제공합니다.

 

AWD는 어떻게 발전해왔나?

사륜구동(AWD)은 원래 오프로드 차량에 쓰이던 기술이었습니다. 그러나 전자제어 기술이 발전하면서 상시 구동 전환동력 배분 비율 제어가 가능해지며, 고성능 차량에서도 채택되기 시작했습니다.

대표적으로 람보르기니 Huracán은 고출력 토크를 제어하기 위해 AWD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으며, 아우디의 Quattro 시스템도 AWD 기술을 상징합니다.

반응형

구동 방식별 기술 구조 비교

항목 후륜구동 (RWD) 사륜구동 (AWD)
동력 전달 후륜에만 동력 전륜+후륜에 자동 배분
장점 가속 시 안정적, 선회 성능 우수 눈길/빗길 접지력 우수, 안정성 높음
단점 미끄럼 위험, 겨울철 접지력 낮음 차체 무거움, 연비 손해
대표 적용 차량 BMW M3, 페라리 F8, 포르쉐 911 아우디 RS, 테슬라 S Plaid, GV70 AWD

 

주행에서 느껴지는 실질적 차이

운전자 입장에서 체감되는 차이는 명확합니다. 후륜구동 차량은 차량 뒷부분을 휘두르는 듯한 조작감이 특징이며, 차체 중심을 후방으로 활용하는 방식입니다. 반면 AWD 차량은 언제나 접지되는 안정된 느낌이 강하고, 언더스티어 경향이 줄어듭니다.

 

고성능 차량에 적용된 LSD의 역할

후륜구동 차량은 주행 안정성을 위해 LSD(Limited Slip Differential)를 장착합니다. 이는 좌우 바퀴의 회전 차이를 제어해 슬립 현상을 줄이고, 트랙션 손실 없이 동력을 유지하게 해줍니다. 특히 슈퍼카에서 후륜 기반의 코너 탈출 가속에는 LSD가 필수적입니다.

 

일반차에서도 경험 가능한 구동 기술

현대 제네시스 G70, 기아 스팅어는 후륜 기반 스포츠 세단으로, 주행 안정성과 선회 성능에서 고급스러운 반응을 보여줍니다. 반면 현대 GV70, 쏘렌토, 투싼 AWD 모델은 일상 주행에서 탁월한 접지력과 눈길 성능을 제공합니다.

 

AWD도 성능 중심으로 진화하고 있다

AWD는 더 이상 오프로드나 눈길 주행만을 위한 구조가 아닙니다. 아우디 RS 시리즈테슬라 S Plaid 같은 모델은 AWD 기반으로 1,000마력 가까운 출력을 안정적으로 제어하며, 고속 직진 안정성, 고속 코너링에서의 토크 배분까지도 전자적으로 수행합니다.

 

스포츠성과 안정성, 둘 다 가능한가?

일부 고급 차량은 AWD + 후륜 조향 + 전자 LSD를 동시에 탑재하여, 후륜의 운동 성과 사륜의 접지력이라는 양쪽을 모두 추구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포르쉐 911 Turbo S는 AWD 기반임에도 후륜구동에 가까운 회전 중심감을 제공합니다.

 

구동 방식 선택 기준은?

일반 운전자 입장에서는 주행 환경이 중요합니다. 도심과 고속도로 위주라면 RWD도 충분하지만, 눈길·우천·비포장 도로가 잦은 지역이라면 AWD의 안정성은 무시할 수 없습니다. 반면 서킷이나 와인딩 주행을 염두에 둔다면, RWD의 다이내믹한 특성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정리하며

후륜구동은 고출력 차량에서의 동력 제어, 스포티한 주행, 운동 성능을 강조하는 구조입니다. 반면 사륜구동은 안정성, 노면 대응력, 전천후 성능에서 우위에 있습니다. 두 방식은 상호 대체가 아니라, 주행 목적에 따라 선택해야 할 기술입니다.

후륜구동 차량에서의 제동 성능과 브레이크 제어 방식에 대해 알고 싶다면 [슈퍼카의 제동 기술 – 카본세라믹 브레이크와 업그레이드 가이드](7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슈퍼카 기술사와 대중차 기술 확산 – 전체 시리즈 목차

반응형

댓글